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22(ARP & IP 프로토콜)
ran4
2022. 7. 18. 14:24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ARP 프로토콜 실습
cmd 창에서 arp –a를 입력 후 인터페이스 확인
- ARP 프로토콜은 3계층이지만, 같은 네트워크 대역에서만 사용된다
- MAC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이더넷 주소로 브로드 캐스트를 하기 때문에
- 브로드 캐스트가 오면 내부에서만 통신하고, 외부로 전달하지 않는다
wireshark로 ARP 확인
물음표가 달려있으면 요청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info -> 192.168.0.251?
MAC 주소를 모르기 때문에 Broadcast로 목적지 전송
패딩
네트워크 데이터의 최소 크기가 지정되어 있다
-> 60byte 최대는 유동적이지만 보통은 1514byte 이다
최소 크기에 못 미치는 경우에 단위를 맞추기 위해 아무 값을 붙인 것이다
-> 00 00 00 00 00과 같은 값이 지정된다
패딩이 붙지 않는 경우도 있다
-> 요청 프로토콜의 패킷을 캡쳐하는 시점이 패딩이 붙기 전이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 것이다
IPv4 프로토콜
- 멀리있는 곳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단점
데이터가 정확하게 전달될 것을 보장하지 않는다
-> 데이터가 잘못 전달될 수도 있다
중복된 패킷을 전달하거나 패킷의 순서를 잘못 전달할 수도 있다
-> 악의적으로 이용되면 Dos 공격이 된다
데이터의 정확하고 순차적인 전달은 상위 프로토콜인 TCP에서 보장한다
IPv4프로토콜의 구조
- 다른 네트워크의 특정 대상을 찾는다
- 20byte 이다
Version | IHL (Header Length) |
Type of Service (TOS) |
Total Length | |
Identification | IP Flags x D M |
Fragment Offset | ||
Time To Live (TTL) |
Protocol | Header Checksum | ||
Source Address | ||||
Destination Address | ||||
IP Option (옵션이 붙기도 하고 안붙기도 한다. 4by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