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18(네트워크 2계층)

ran4 2022. 7. 9. 15:02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OSI 7계층

 

OSI 7 계층 모델 계층별 프로토콜
(중요 개념)
TCP/IP
7계층 응용 HTTP 4계층 응용
6계층 표현  
5계층 세션  
4계층 전송 TCP, UDP 3계층 전송
3계층 네트워크 IP, ICMP, ARP 2계층 네트워크
2계층 데이터 링크 Ethernet 1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1계층 물리  

 

 


 

2계층에서 하는일

> 2계층의 기능

  •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존재하는 여러 장비들 중에서 한 장비가(하나의 네트워크 대역)
  • 다른 장비에게 보내는 데이터를 전달한다
  • 이동하는 데이터의 오류를 확인하는 오류제어와 데이터의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흐름제어의 기능을 수행한다

 

**같은 네트워크 대역인 LAN에서만 통신할 때 사용한다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는 항상 3계층의 도움이 필요하다

-> 3계층의 주소와 3계층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이 가능하다

 

 

 

2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MAC 주소

  • 물리적인 주소라고 한다
  • -> 실제 이동 주소
  •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한다

 

 

물리적인 주소

물리적인 주소는 16진수로 나타내며 12개의 16진수로 이루어져있다 (2개씩 구분)

6C-29-95 - 04-EB-A1으로 이루어진 물리적 주소가 있을 때,

  • 6C-29-95 : OUI - IEEE에서 부여하는 일종의 제조회사 식별 ID를 의미한다
  • 04-EB-A1 : 제조사에서 부여한 고유번호를 의미한다

 

 

2계층 프로토콜

L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Ethernet 프로토콜

- 14바이트로 구성된다

 

Preamble
Preamble
Destination Address
Destination Address Source Address
Source Address
Ethernet Type Data

 

 

Destination Address 목적지 주소 (6byte = 16진수 12개)

-> 데이터를 받는 곳의 주소

Ethernet 프로토콜에 주소를 작성한다

 

Source Address 출발지 주소 (6byte)

-> 데이터를 보내는 곳의 주소

 

Ethernet Type : Ethernet 프로토콜의 상위 프로토콜이 무엇인지 알려준다

Data : 전기적 신호로 데이터가 전달되기 때문에 어떤 계층이 들어가 있는지 분석 후 알려준다 -> IP, ARP인지 구분

 

**상위 프로토콜 타입 (2byte)

IPv4(0x0900). ARP(0x0806)

 

 

cmd 창에서 ipconfig/all을 입력하면 IP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 컴퓨터가 알아서 MAC 주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저가 직접 사용할 일은 없다 

 

 

 

'CS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정리_120(네트워크 3계층_2)  (0) 2022.07.13
TIL 정리_119(네트워크 3계층)  (0) 2022.07.11
TIL 정리_112(네트워크 모델)  (0) 2022.06.27
TIL 정리_111(네트워크 기초)  (0) 2022.06.23
TIL 정리_110(TCP)  (0) 2022.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