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19(네트워크 3계층)

ran4 2022. 7. 11. 21:44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네트워크 3계층

3계층의 기능

  • 3계층은 멀리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네트워크까지 어떻게 데이터를 전달할지 제어하는 일을 담당한다
  • -> 서로 다른 Lan과 Lan을 연결한다
  • -> 발신에서 착신까지의 패킷의 경로를 제어한다

 

*연결하기 위해서는 라우터라는 장치가 필요하다

 

 

 

IP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하는 주소이다

명령 프롬포트에 ipconfig를 검색하면 IP구성을 알 수 있다

 

 

구성요소 //최소한의 설정

IPv4 주소 

  • 현재 PC에 할당된 IP주소를 의미한다
  • 10진수로 나타내며, 4byte를 할당한다

 

 

서브넷 마스크

  • IP 주소에 대한 네트워크 대역을 규정하는 것이다
  •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할 수 있게 돕는다
  • 2진수로 표기했을 때 1로시작하며, 1과 1 사이에는 0이 올 수 없다는 규칙을 가지고 있다

**서브넷 마스크 이전에는 “.”으로 나눠진 것만 구분을 하였다

 

 

게이트웨이 주소

  • 외부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출입구를 의미한다

 

 

3계층 프로토콜

ARP 프로토콜

IP 주소를 이용하여 MAC 주소를 알아온다

 

IPv4 프로토콜

WAN에서 통신할 때 사용한다

-> IPv6의 사용량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일반적인 IP 주소

Classful IP 주소

각각의 기능에 따라 나눠놓은 형태이다

-> 낭비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다

 

클래스 네트워크 구분 시작 주소 끝 주소
A 0XXXXXXX, 첫 번째 필드 0.0.0.0 127.255.255.255
B 10XXXXXX, 두 번째 필드 128.0.0.0 191.255.255.255
C 110XXXXX, 세 번째 필드 192.0.0.0 223.255.255.255
D
(멀티 캐스트)
1110XXXX 224.0.0.0 239.255.255.255
E
(예약)
1111XXXX 240.0.0.0 255.255.255.255

 

-> 현재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참고만 한다 

 

 

필드 별 역할

첫 번째 필드(A 클래스)

네트워크 대역을 구분하는데 사용한다

 

B, C, D 필드 : 하나의 네트워크 대역에 속해있는 각각의 PC를 구분한다

 

 

 

Classfulless IP 주소

  • 클래스에 맞게 사용하면 낭비가 심하기 때문에 클래스 구분 없이 사용하는 방식이다
  •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쪼개서 사용한다
  • -> 낭비가 없도록 아껴쓰는 주소이다

 

192.168.32.189/26
IP 주소 192.168.32.189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192
네트워크 ID 192.168.32.128
브로드캐스트 주소 192.168.32.191
사용 가능 IP 범위 192.168.32.129 ~ 192.168.32.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