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24(ICMP, 라우팅 테이블(3계층))

ran4 2022. 7. 22. 22:5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

  • 네트워크 컴퓨터 위에서 돌아가는 운영체제 오류 메시지를 전송받는데 주로 사용된다
  • 프로토콜 구조의 type과 code를 통해 오류 메시지를 전송 받는다

 

특징

상대방과의 통신이 잘 되는지 여부를 알아본다

Type  Code  checksum
Other message specific information

8bytes로 구성된다 

 

ICMP의 type

0 8 -> 기본적인 것

8번 Echo는 요청, 0번 Echo Reply가 응답이다

 

3 11 -> 무언가 잘못됐을 때

3번 Destination Unreachable 목적지에 도달하지 못함을 알림

-> 보통 도착하지 못한 경우에 해당한다

-> 경로의 문제 (경로 설정)

 

11번 Time Exceded 요청시간 만료

-> 목적지에 도착했으나 응답받지 못한 경우이다

-> 상대방의 문제 (방화벽을 켜 놓은 경우)

 

5번 Redirect -> 보안상 잘못됐을 때

ICMP redirect : 원격지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일종의 지도)을 수정한다

-> 남의 것을 수정하기 때문에 보안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최근에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라우팅 테이블

최적의 경로를 지도처럼 저장한다

-> 어디로 보내야 하는지 설정되어 있다

확인법 : cmd 창 -> netstat –r 

 

  • 라우팅 테이블에 적혀있는 네트워크 대역만 찾아갈 수 있으며
  • 적여있지 않은 네트워크 대역은 찾아갈 수 없다
  • -> 지도가 있어야 해당하는 위치로 갈 수 있다

 

지도가 없으면 찾아갈 수 없기 때문에 기본값을 넣어준다

-> 기본 게이트웨이 값

게이트웨이가 설정되지 않으면 모르는 네트워크 대역으로 찾아간다

 

라우팅 테이블 설정 -> 라우터 설정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 과정

> 가정

  • 네트워크 대역이 여러 개로 나눠져 있을 때
  • A라는 컴퓨터가 B라는 다른 네트워크 대역의 컴퓨터와 통신한다 
  • A와 B사이에는 공유기가 2개 존재한다

 

A의 라우팅 테이블이 아래와 같을 때

192.168.0.0/24 -> 192.168.10.1

192.168.20.0/24 -> 192.168.10.1

B의 네트워크 대역이 있어야 통신이 가능하다

 

 

네트워크 대역을 알고있는 상태에서 통신을 할 때의 과정

ICMP 요청 프로토콜

요청 : 08 응답 : 00

 

08 00 4d 56
00 01 00 01

 

IPv4 프로토콜

 

4 5 00 00 3c
12 ab 0 0 00
80 01 00 00
c0 a8 0a 0a
c0 a8 14 14

 

 

Eth(이더넷) 프로토콜

목적지 맥 주소 : 목적지인 B 컴퓨터가 아닌 가까운 맥주소와 통신한다

-> 게이트 웨이의 맥주소

-> 가까운 대역으로 보낸다

 

CC CC CC CC
CC CC aa aa
aa aa aa aa
08 00

 

 

'CS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정리_126(4계층 이론)  (0) 2022.07.27
TIL 정리_125(조각화)  (0) 2022.07.25
TIL 정리_123(IP 프로토콜 구조)  (0) 2022.07.20
TIL 정리_122(ARP & IP 프로토콜)  (0) 2022.07.18
TIL 정리_121(ARP 프로토콜)  (0) 2022.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