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25(조각화)

ran4 2022. 7. 25. 22:06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조각화


큰 IP 패킷들이 적은 MTU(Maximum Transmission Unit)를 갖는 링크를 통하여 전송되려면

여러 개의 작은 패킷으로 쪼개어 조각화 되어 전송되어야 한다

-> 목적지까지 패킷을 전달하는 과정에 통과하는 각 라우터마다 전송에 적합한 프레임으로 변환이 필요하다

 

일단 조각화되면, 최종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재조립 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조각화의 특징

  • IPv4에서는 발신지 뿐만 아니라 중간 라우터에서도 IP 조각화가 가능하다
  • IPv6에서는 IP 단편화가 발신지에서만 가능하다
  • 재조립은 항상 최종 수신지에서만 가능하다

 

 

조각화 된 패킷

원래 보내려는 데이터가 11980 bytes일 때

 

MF Offset Data
11,980 bytes
0 0

 

MF : 패킷의 여부를 알려준다

Offset : 첫 번째 데이터 크기만큼 떨어져있다

 

 

MTU가 3,300byte라고 가정한다면

MTU는 IPv4까지 합한 값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 3,280byte씩 조각화된다

일반적으로는 1,500으로 구성된다

 

MF Offset Data
3,280 bytes
1 0

*헤더의 길이 = 20byte

 

 

예시

순수한 데이터가 2000byte, MTU가 1500일 때 쪼개지 않으면 전송할 수 없다

조각화 되는 과정

 

Data(1480) D
(520)

 

Data
(분리)
ICMP 요청 D
1480 528

 

IPv4 Data
(분리)
IPv4 ICMP 요청 D
1500
548

 

IPv4 정보

- IPv4

 

4 5 00 05 dc
12 ab 2 0 00
80 01 00 00
c0 a8 0a 0a
c0 a8 14 14

 

- IPv4

 

4 5 00 02 24
12 ab 0 0 b9
80 01 00 00
c0 a8 0a 0a
c0 a8 14 14

 

--------------------------------------------------------MTU(1500)

Eth IPv4 Data
1514
Eth IPv4 ICMP 요청 D
562

 

 

++ 

조각화 과정에 대한 예제 강의 

https://youtu.be/QKEL9aBgHt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