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26(4계층 이론)

ran4 2022. 7. 27. 23:48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컴퓨터 프로그램끼리 데이터 주고받는법

클라이언트 서버의 개념

 

4계층 프로토콜

  • 4계층에서 하는 일
  • --> 전송계층은 송신자의 프로세스와 수신자의 프로세스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 전송 계층은 연결 지향 데이터 스트림 지원, 신뢰성, 흐름 제어, 다중화와 같은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송 프로토콜 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연결지향 전송 방식을 사용하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이다

보다 단순한 전송에 사용되는 사용자 데이터 프로토콜도 있다(UDP)

 


4 계층 프로토콜의 종류

UDP
비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다
-> 안전한 연결을 지향하지 않는다
결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데이터를 보낸다

 

TCP
안전한 연결을 지향한다

-> 과정이 복잡하다 

 


트 번호
4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이다

 

 

포트 번호의 특징

  • 특정 프로세스와 특정 프로세스가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
  • 하나의 포트는 하나의 프로세스만 사용 가능하다
  • 하나의 프로세스가 여러 개의 포트를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A 프로그램이 100번 포트를 사용하면
B 프로그램은 100을 사용할 수 없다

 

 

  •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정해져있지만 무조건 지켜야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
일반적으로 웹 서비스는 80번 포트를 사용하지만 

웹 서비스가 항상 80번 포트를 
사용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포트 번호의 분류(크게 3가지)


Well-Known 포트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포트 번호이다

 

서비스 이름 포트번호
FTP 20번, 21번
SSH 22번
TELNET 23번
DNS 53
DHCP 67번, 68번
TETP 69번
HTTP
( 웹 서버의 포트) 
80번
HTTPS 443번

 

*서버 : 실행하는 프로그램

 


조금 유명한 포트 : Registered 포트

 

서비스 이름 포트번호
오라클 DB서버 1521번
MySQL 서버 3306번
MS 원격 데스크탑 3389번

 


Dynamic 포트

  •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한다
  • 49152번 ~ 65535번 사이 중 하나를 할당  
  • 상대 프로그램으로 연결할 때 사용된다


프로그램의 연결 정보

활성 연결 테이블
-> 포트 활성 여부를 나타낸다 

 

포트 확인방법

cmd에 netstat -ano 명령어 입력
내 컴퓨터와 현재 연결된 다른 컴퓨터 확인

 

 

실습은 아래 링크 참고

 

1. 현재 연결 상태 확인
https://youtu.be/Jb7tCFp-udM

 

2. 특정 서비스의 포트 번호 확인 
https://youtu.be/Qqmwm3rFihk

'CS지식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L 정리_128(TCP 구조와 플래그)  (0) 2022.08.01
TIL 정리_127(UDP)  (0) 2022.07.29
TIL 정리_125(조각화)  (0) 2022.07.25
TIL 정리_124(ICMP, 라우팅 테이블(3계층))  (0) 2022.07.22
TIL 정리_123(IP 프로토콜 구조)  (0) 2022.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