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지식/네트워크

TIL 정리_127(UDP)

ran4 2022. 7. 29. 22:23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8NnikouEWcF1jJueLdjRIC4HsUlULi 

위의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UDP 프로토콜

User Datagram Protocol

  •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을 의미하며
  • 유니버셜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라 일컫기도 한다

 

UDP의 전송 방식은 매우 단순하여 서비스의 신뢰성이 낮고,

데이터그램 도착순서가 바뀌거나, 중복되거나, 통보없이 누락시키기도 한다

UDP는 일반적으로 오류의 검사와 수정이 필요없는 프로그램에서 수행함을 가정한다

 

 

UDP의 구조

 

Source Port Destination Port
Length Checksum

 

->8byes로 구성되어있다

 

 

UD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그램

DNS 서버

도메인을 물으면 IP를 알려준다

 

Tftp 서버

UDP로 파일을 공유하는 파일 전송 프로그램이다

 

RIP 프로토콜

라우팅 정보를 공유한다

 

 

*라우터를 설정하는 2가지 방법

  1. 사람이 하나하나 수동으로 설정한다
  2. 라우터들끼리 정보를 공유하여 자동으로 최신 라우팅 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

 

실습

1. Tftpd를 사용하여 데이터 공유

Tftp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UDP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공식 홈페이지에서 다운받아 압축을 풀면 된다

 

실행 순서 

  1.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각각 설정한다 
  2. 실행파일이 존재하는 폴더에 메모장을 생성한다
  3. 서버에서 메모장 파일을 전송한다
  4. 서버 인터페이스에 실제로 사용하는 네트워크 IP 주소를 선택한다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탭을 누른 후

Host에 서버의 IP를 적고, 서버가 사용하는 포트번호를 적는다

-> Tftp는 well-known 포트이기 때문에 포트번호를 69로 사용한다

 

Local File

컴퓨터에 저장할 이름을 적는다

-> 그대로 사용해야한다

 

Remote File

서버에서 생성한 파일의 이름을 적는다

-> 반드시 서버에서 생성한 이름과 동일하게 적어야한다

 

-> get 버튼을 누르면 클라이언트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파일 전송을 UDP로?

 

중간에 데이터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큰 파일을 전송할 때는 UDP로 전송하면 안된다

특수한 경우에 UDP를 사용하는데, 보통은 효율을 위해 UDP와 TCP를 함께 사용한다

정상 작동하지 않는 PC에서 사용하기도 한다

 

 

2. 패킷 캡쳐 및 분석

wireshark로 UDP 패킷을 캡쳐 후 분석

NAT == VMnet8로 서로 통신하기 때문에 캡쳐시 이 네트워크를 선택해야 한다

https://youtu.be/5Woau-EJChw 참고